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#세부여행
- #츄비츄비
- #세부물가
- zerowaste
- 라이브아이콘
- #필리핀선불유심
- #탑스그릴
- global is not defined
- 와플 맛집
- 시스템데이터
- #필리핀물가
- 제로웨이스트
- 플라스틱유해성
- 커피컵뚜껑
- 경차유류세
- 매장내 일회용컵
- ngx-socket-io
- socket.io
- 30대 연봉
- 전주 와플 맛집
- 전주 디저트
- 와플란다스
- noplastic
- 경차전용카드
- system data
- 노플라스틱
- 플라스틱 줄이기
- 게임중바탕화면
- 경차 유류세
- typeORM
- Today
- Total
꿈꾸는 중년 개발자
생활 속의 폴리스티렌(PS) 본문
한 때, 플라스틱 종류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모든 플라스틱을 유심히 살펴본 적이 있다.
뜨거운 것을 담아서 무해한 플라스틱은 젖병소재로 많이 쓰이는 오직 하나 PP 뿐이라고..
국**무 라는 국수 프랜차이즈에서 배달을 시켰는데, 용기들을 확인하고 화들짝 놀란 기억이 있다.
여전히 뜨겁던 장국 용기에 당당하게 새겨진 두 글자 "PS"..
전화해서 뜨거운 음식 담는데 부적합하니 앞으로 포장용기를 바꾸시라고 말씀드렸는데 바꾸셨는지는 모르겠다..
http://www.dt.co.kr/contents.html?article_no=2017082502101832005001
발암물질도 모자라 각종 독성까지 있다는 플라스틱을 어쩌다 장국을 담는 용도로 쓰고 있는 걸까..
대부분의 컵라면 용기가 폴리스티렌이었다는 점에 더더욱 놀랐다... (지금은 대부분 종이 용기로 교체된 듯하지만.. )
또한, 여전히 많이 쓰고 있는 커피컵 뚜껑 역시 폴리스티렌이다.
90도 정도의 뜨거운 커피가 컵뚜껑에 닿으니까
따로 주문하지 않아도, 환경호르몬이 추가된 커피를 마실 수 있다.
간단한 검색만으로도 유해성을 알 수 있는데, 어쩌면 이렇게 사는 사람 파는, 사람 모두 무심할 수 있을까..
(하긴.. 지금은 퇴출되었지만, 가장 유명한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를 원료로 한 PC가 젖병으로까지 쓰였던 시절에 비하면 나아진걸까?)
업주들은 용기의 유해성보다는 단가가 중요할 것이고,
결국 소비자 스스로 똑똑해져서 피하는 수 밖에 없다.
다행히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많다. 매장 내 비치된 다회용컵을 쓰거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텀블러를 챙겨다니면 간단하다!
'제로웨이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라스틱 인심 (1) | 2019.02.07 |
---|---|
디저트 테이크아웃에 다회용기 사용하기 그리고 공감 받기 (0) | 2019.01.10 |